본문 바로가기
우화 모음

묵자의 비공(非攻) - 고대의 비폭력 사상

by 알고리3 2025. 7. 19.
반응형

『묵자』의 비공(非攻) 편은 고대 중국의 철학자 묵자가 전쟁과 침략을 반대한 대표적인 평화 우화입니다. 실용주의와 이타주의에 기반한 묵가 사상은 현대의 윤리철학과 평화학에서도 중요한 참고점이 됩니다.

1. 서론: 평화를 말한 고대 사상가의 외침

우리는 보통 전쟁 반대를 현대인의 윤리의식이나 국제 인권 담론에서 출발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고대 동양 철학에도 평화주의의 뿌리는 깊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 인물이 바로 묵자(墨子)입니다.
그는 공자의 유가(儒家)가 인간 내면의 도덕을 중시한 반면, 보다 실용적이고 공동체 중심의 윤리를 강조한 인물입니다.
『묵자』의 “비공(非攻)” 편은 그런 사상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우화입니다.

 

 

2. 우화의 내용: 송나라를 지키려 한 묵자

어느 날, 대국인 초나라가 작은 나라 송나라를 침략하려 했습니다.
이에 묵자는 침략을 막기 위해 홀몸으로 수천 리를 달려 초나라 국왕을 만나러 갑니다.

왕은 “우리 병사가 많고 무기 또한 정비되어 있다”고 말하며 침략의 정당성을 주장했어요.
그러자 묵자는 나무로 만든 성(城)을 설치하고, 초나라의 병기와 전술을 재현하며 말합니다.

“초나라 병사들이 이리 오면, 나는 이렇게 막고,
저리 오면, 이렇게 대응하겠습니다.”

 

묵자는 혼자서 전술 시뮬레이션을 재현하며 자신이 직접 송나라 방어를 맡겠다고 선언한 것이죠.
결국 초왕은 침략 의지를 꺾고 철군을 명합니다.


3. 침략 반대의 철학 - 실천적 이타주의

이 우화는 단순한 설득 이야기로 보이지만, 그 밑에는 ‘타인을 해치는 행위는 자신에게도 해악을 준다’는 철학이 깔려 있습니다.

묵자는 “강한 자가 약한 자를 공격하는 것은 도덕적 부정”일 뿐 아니라, 비용, 희생, 장기적 해악까지 고려할 때 비합리적 선택이라 주장했습니다.

묵가의 핵심 사상인 겸애(兼愛)와 비공(非攻)은 이런 철학에 기반해요.

  • 겸애: 차별 없는 사랑과 공감의 실천
  • 비공: 침략과 정복에 대한 원칙적 거부

이 두 가지는 개인의 윤리가 아니라 국가의 정책, 더 나아가 문명 운영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묵자는 주장했습니다.


4. 현대적 적용: 평화주의와 국방 윤리

이 우화는 오늘날 국제 정치에서도 유의미한 시사점을 던져줍니다.
강대국의 침략 논리, 안보 명분 아래 자행되는 선제 타격, 기술 전쟁과 경제 제재 등…

모두가 ‘힘’이라는 논리로 정당화되지만, 그 안에는 수많은 민간인의 고통과 윤리적 파괴가 자리합니다.

묵자는 말합니다:

“사랑하는 이가 해를 입는다면, 그것이 비록 적국이라도 기뻐할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입장은 간디의 비폭력주의, 퀘이커교의 평화주의, 현대 국제 평화운동과도 연결될 수 있어요.


5. 실천 철학으로서의 묵가사상

묵자는 단지 말로 철학을 논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직접 성을 만들고, 무기를 연구하며, 기술자와 병사들을 교육했고, 여러 도시국가를 돌아다니며 전쟁을 예방하는 실천적 철학자로 살아갔습니다.

이는 유가의 관념적 도덕보다 현실적 효용과 실천을 중시하는 묵가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 점에서 묵자는 오늘날 실천 윤리, 행동주의 철학, 참여형 평화운동의 선구자라 불릴 수 있습니다.


6. 결론: 고대의 평화 철학이 오늘 우리에게 전하는 말

『묵자』의 비공은 그저 전쟁을 반대한 도덕 설교가 아닙니다.
그것은 윤리와 전략, 감정과 이성, 실천과 철학이 통합된 철학적 선언입니다.

묵자는 “가장 강한 자는 공격하는 자가 아니라, 막는 자”라고 했습니다.
침략에 맞서 싸우는 것조차 하지 않고, 말과 설득, 논리와 시뮬레이션으로 전쟁을 막아낸 철학자.
그것이 바로 묵자입니다.

 

2025.07.15 - [분류 전체보기] - 열자의 ‘풍과 해’ 우화: 부드러움의 힘과 설득

2025.07.07 - [분류 전체보기] - 불교 우화 10 - 찢어진 돛단배 이야기

 

불교 우화 10 - 찢어진 돛단배 이야기

불교 우화 ‘찢어진 돛단배’를 통해 역경 속에서도 삶의 방향을 잃지 않는 마음의 지혜를 배워보세요. 고난을 통과하는 법과 내면의 나침반을 키우는 법을 소개합니다.항해 도중 돛이 찢어졌

a3.argory.com

2025.07.07 - [분류 전체보기] - 불교 우화 3 - 불을 품은 자

 

불교 우화 3 - 불을 품은 자

불교 우화 '불을 품은 자'를 통해 분노가 누구를 가장 먼저 해치는지 돌아보세요. 법구경의 가르침과 함께 분노 다스리는 실천 방법을 소개합니다.당신의 분노는 누구를 해치고 있습니까?한 제

a3.argory.com

2025.07.03 - [분류 전체보기] - 이마, 머리, 다리 관련 한국 속담

 

이마, 머리, 다리 관련 한국 속담

머리를 식히다’, ‘다리를 놓다’ 같은 신체 속담으로 표현력 높이고, 의미와 예문, Q&A로 한국어 실력을 업그레이드하세요.서론한국어 속담은 신체 부위를 활용해 삶의 지혜와 교훈을 전합니

a3.argory.com

2025.06.22 - [분류 전체보기] - 만다라(Mandala)의 정의, 역사, 상징과 활용

 

만다라(Mandala)의 정의, 역사, 상징과 활용

만다라의 정의, 역사, 상징, 명상과 심리치료에서의 활용까지 완벽 정리! 내면의 평화를 위한 색채와 원형의 힘을 만나보세요.서론만다라(Mandala)는 인류 역사 속에서 오랜 세월 동안 영성, 치유,

a3.argory.com

 

반응형